인플루언서와 수익/지분 쉐어 협업 성공 사례 5가지 분석
📋 개요
단순 광고비 지급이 아닌, 인플루언서와 기업이 수익 쉐어 또는 지분 쉐어를 통해 깊이 협업한 성공 사례들을 분석하여 0원 마케팅으로도 가능한 협업 모델을 제시합니다.
1️⃣ 박막례(75세) × 프레시지/GS샵 - 푸드테크 협업 (★★★★★)
프레시지, '박막례 할머니'와 협업해 국수 밀키트 2종 출시 - 핀포인트뉴스
프레시지가 13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유튜버 ‘박막례 할머니’가 런칭한 브랜드 ‘빅토리아막례‘와 협업하여 국수 밀키트 2종을 6일 출시했다.이번 출시 제품은 ‘박막례 비빔국수’
www.pinpointnews.co.kr
📊 기본 정보
- 인플루언서: 박막례 할머니 (유튜브 구독자 116만명)
- 협업 기업: 프레시지, GS샵
- 협업 형태: 레시피 공동 개발 + 수익 쉐어
🎯 각자의 역할
인플루언서 역할:
- 1600만 조회수 기록한 요리 레시피 제공
- 제품 개발 과정 참여 및 검수
- 라이브 쇼핑 호스트 직접 참여
- 유튜브 채널을 통한 지속적 홍보
기업 역할:
- 레시피의 밀키트화 기술 개발
- 대량 생산 시스템 구축
- 유통 채널 확보 (배달의민족, GS샵)
- 품질 관리 및 CS 처리
💰 매출 성과
- 비빔국수 밀키트: 1분만에 2만 1,000개 완판
- 국물떡볶이: 3만 6,000개 완판 (25만명 동시 시청)
- 게장 + 김치: 2개월간 13억원 매출 달성
- 곱창전골: 연속 히트 상품 출시
💡 예상 수익 분배
- 로열티형: 매출의 5-15% 예상
- 추정 인플루언서 수익: 연간 1-2억원
- 기업 수익: 매출에서 원가와 로열티 제외한 순이익
✅ 성공 요인
- 검증된 레시피의 상품화
- 타겟층(중장년층)과 인플루언서 이미지 완벽 매칭
- 라이브 커머스와 전통 홈쇼핑 채널 활용
2️⃣ 레오제이 × 에뛰드 - 뷰티 콜라보 (★★★★)
https://www.newstomato.com/ReadNews.aspx?no=1048171&utm_source=chatgpt.com
에뛰드와 뷰티 크리에이터 레오제이가 협업해 아이섀도우 팔레트 '플레이컬러아이즈 더스티캣'을 출시했다. 사진/레페리 [뉴스토마토 심수진 기자] 뷰티 인플루언서 그룹 레페리는 소속 뷰티
www.newstomato.com
📊 기본 정보
- 인플루언서: 레오제이 (구독자 100만명, 메이크업 아티스트)
- 협업 기업: 에뛰드 (아모레퍼시픽 계열)
- 협업 형태: 제품 기획 참여 + 판매 수수료
🎯 각자의 역할
인플루언서 역할:
- 가을 팔레트 사전 테스트 및 피드백
- 키트 구성 직접 제안 (레더샵 팔레트 + 피카소 브러시)
- 애칭 공모 이벤트 기획 ('가을레오팔레트')
- 네이버 쇼핑 라이브 진행
기업 역할:
- 제품 개발 및 대량 생산
- 40% 할인가 및 3만원 상당 사은품 제공
- 유통 채널 확보 (네이버 쇼핑 라이브)
- 마케팅 비용 지원
💰 매출 성과
- 라이브 방송 5분만에 2,000개 완판
- 1시간 방송 동안 3만명 시청
- 단일 방송 매출 추정 2-3억원
💡 예상 수익 분배
- 판매 수수료: 매출의 3-8% 예상
- 추정 인플루언서 수익: 방송당 600만-2,400만원
- 기업 수익: 브랜드 인지도 상승 + 직접 매출
✅ 성공 요인
- 인플루언서의 전문성(메이크업 아티스트)
- 제품 기획 단계부터 참여
- 실시간 소통을 통한 판매 독려
3️⃣ 룰루레몬 × 글로벌 피트니스 인플루언서들 - 앰배서더 프로그램 (★★★★★)
4) 룰루레몬 엠베서더 / 기업의 고객 커뮤니티 사례
기업들의 고객 커뮤니티 사례 4) 룰루레몬 엠베서더 - 그들은 고객과 연결되는 체인을 만들었다. 우선 엠베서더와 만나고, 그 엠베서더가 고객을 만나 영향을 좀 더 미치게 도와준다. 1) 룰루레몬
brunch.co.kr
📊 기본 정보
- 인플루언서: 각국 현지 피트니스 인플루언서들
- 협업 기업: 룰루레몬 (캐나다 애슬레저 브랜드)
- 협업 형태: 장기 앰배서더 + 지역별 수익 쉐어
🎯 각자의 역할
인플루언서 역할:
- 각 지역 피트니스 클래스 진행
- 'Sweatlife' 브랜드 미션 전파
- UGC(User Generated Content) 지속 생산
- 현지 커뮤니티 구축 및 관리
기업 역할:
- 앰배서더 교육 및 제품 지원
- 지역별 맞춤 마케팅 전략 수립
- D2C 플랫폼 구축 및 운영
- 글로벌 브랜드 일관성 관리
💰 매출 성과
- 2022년 D2C 채널 매출 비중 90%
- 공식 온라인몰 매출 비중 40%
- 연간 매출 수십억 달러 규모
💡 예상 수익 분배
- 지역별 매출 연동: 해당 지역 매출의 1-3%
- 장기 계약: 월 고정비 + 성과급
- 추정 인플루언서 수익: 월 500만-5,000만원 (지역별 차이)
✅ 성공 요인
- 브랜드 철학과 인플루언서 가치관 일치
-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현지화 전략
-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
4️⃣ 티르티르 × 해외 뷰티 인플루언서 - 글로벌 진출 (★★★★)
전 세계 1.7초마다 팔린다! 티르티르가 터뜨린 대박의 비밀은? - 인사이트 - 넥스트유니콘
전 세계에서 1.7초에 한 개씩 팔리는 제품을 만들며 K-뷰티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곳. 티르티르가 그 주인공인데요. 2019년 설립된 화장품 회사인 티르티르는 무려 45가지 색상의 쿠션 팩트를
www.nextunicorn.kr
📊 기본 정보
- 인플루언서: 달시(Darcei, 틱톡/유튜브 뷰티 인플루언서)
- 협업 기업: 티르티르 (K-뷰티 브랜드)
- 협업 형태: 맞춤 제품 개발 + 글로벌 홍보 수수료
🎯 각자의 역할
인플루언서 역할:
- 흑인 여성 피부톤에 맞는 제품 니즈 제기
- 제품 테스트 및 리뷰 영상 제작
- 글로벌 커뮤니티에서 바이럴 확산
- 브랜드 스토리텔링 참여
기업 역할:
- 신속한 맞춤형 제품 개발 (쿠션 파운데이션)
- 글로벌 배송 시스템 구축
- 제품 품질 보증
- 후속 제품 라인업 확장
💰 매출 성과
- 수백만 조회수 영상 제작
-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급상승
- 북미 시장 진출 교두보 확보
💡 예상 수익 분배
- 바이럴 성과 보너스: 조회수 연동 지급
- 장기 글로벌 앰배서더 계약
- 추정 수익: 프로젝트당 5,000만-1억원
✅ 성공 요인
- 진정성 있는 니즈 반영
- 빠른 응답과 제품 개발
- 글로벌 다양성 가치 부합
5️⃣ 코스알엑스 × 해외 인플루언서 - 한국 체험 마케팅 (★★★)
코스알엑스 X 예스스타일 유럽 인플루언서 서포터즈, 각국 팬 반응 이어져
코스알엑스 X 예스스타일 유럽 인플루언서 서포터즈, 각국 팬 반응 이어져, 한경비즈니스 온라인뉴스팀 기자, 한경BUSINESS
magazine.hankyung.com
📊 기본 정보
- 인플루언서: 다양한 해외 뷰티 인플루언서들
- 협업 기업: 코스알엑스 (COS RX, K-뷰티 브랜드)
- 협업 형태: 한국 여행 제공 + 콘텐츠 수수료
🎯 각자의 역할
인플루언서 역할:
- 한국 방문 및 브랜드 체험기 제작
- 제품을 활용한 K-뷰티 루틴 소개
- 현지 팔로워들에게 한국 문화와 제품 홍보
- 지속적인 제품 사용 후기 업로드
기업 역할:
- 한국 여행 전체 비용 지원
- 브랜드 스토리 및 제조 과정 견학 제공
- 충분한 제품 샘플 및 정품 제공
- 통역 및 가이드 서비스 지원
💰 매출 성과
-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향상
- 해외 온라인 매출 증가
- K-뷰티 트렌드 선도 브랜드 포지셔닝
💡 예상 수익 분배
- 여행 비용: 1인당 500만-1,000만원
- 콘텐츠 제작비: 영상당 200만-500만원
- 장기 앰배서더 전환 시: 월 300만-1,000만원
✅ 성공 요인
- 특별한 경험 제공 (단순 제품 협찬 이상)
- 문화적 스토리텔링과 제품 결합
- 진정성 있는 체험 기반 콘텐츠
🎯 0원 마케팅을 위한 핵심 인사이트
✅ 성공하는 수익 쉐어 모델의 공통점
- Win-Win 구조 설계
-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기업의 역량 결합
- 단순 광고가 아닌 공동 가치 창출
- 장기적 파트너십
-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관계 구축
- 브랜드 성장과 인플루언서 성장 동반
- 진정성 기반 협업
- 인플루언서의 평소 가치관과 브랜드 철학 일치
-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동기 부여
💡 예상 수익 분배 모델
협업 형태 | 인플루언서 수익 비중 | 기업 수익 비중 | 비고 |
제품 공동개발 | 매출의 5-15% | 매출의 20-40% | 로열티 방식 |
라이브 커머스 | 매출의 3-8% | 매출의 15-25% | 판매 수수료 |
장기 앰배서더 | 고정비 + 성과급 | 브랜드 가치 상승 | 월 계약 |
글로벌 진출 | 성과 연동 지급 | 시장 점유율 확보 | 프로젝트별 |
🚀 0원으로 시작하는 협업 전략
- 가치 제안 우선
- 광고비 대신 미래 수익 쉐어 제안
- 인플루언서의 개인 브랜드 성장 지원
- 단계별 협업 심화
- 1단계: 제품 협찬 → 2단계: 공동 기획 → 3단계: 수익 쉐어
- 신뢰 관계 구축 후 본격 협업 진행
- 데이터 기반 성과 측정
- 명확한 KPI 설정 (매출, 인지도, 참여율 등)
- 투명한 정산 시스템 구축
🔍 결론
인플루언서와의 수익/지분 쉐어 협업은 단순한 광고를 넘어선 진정한 파트너십입니다.
성공 사례들을 보면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Win-Win 구조에서 최고의 성과가 나타나며,
특히 인플루언서의 전문성과 기업의 역량이 결합될 때 폭발적인 시너지를 창출합니다.
0원 마케팅도 충분히 가능하며, 오히려 장기적 관점에서 더 큰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협업 모델입니다.
중요한 것은 진정성 있는 파트너십과 명확한 성과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.